구매의 목적
구매란? 구매 관리 1. 구매란? 구매는 생산 활동이나 영업 활동에 필요한 설비, 원재료, 부품, 소모품 등을 구입하는 활동으로 제조업체가 생산에 필요한 설비나 원재료, 부품 등의 자재를 조달�
cusport.tistory.com
회사가 기업 활동이나 영업활동 등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물품이나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이들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구매품을 분류해 놓고 분류 내용에 따라 구매 방식을 바꿔 가며 경쟁사보다 유리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구매품은 형상에 따라 분류하면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원재료 :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원료나 재료
- 반제품 : 완제품은 아니지만 구입한 시점에 이미 어떤 형상이 만들어져 있는 물품으로
제품의 실체를 구성하게 되는 물건이나 단조품 등
- 완제품 : 외부의 메이커가 정해진 규격으로 만들어 낸 표준품으로 혹은 외부기업에
생산을 위탁하여 만든 완성된 제품
또한 구매물건을 조달 방법에 따라 표준 구입품, 외주품, 자체 생산품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재고 방식에서는 상비품, 비상비품 등으로, 원가 비용에서는 주재료와 보조 재료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조달 방법에 의한 분류
- 조달처에 의한 분류 : 표준구입품, 외주품, 자체 생산품
- 재고 방식에 의한 분류 : 상비품, 비상비품
- 원가 비용 명세에 의한 분류 : 주재료, 보조 재료
- 기타 : 지급품, 완성품, 자급품, 반제품
회사에서하는 구매 방식에는 집중 구매방식과 분산구매방식 혹은 중간 방식이 있습니다.
집중 구매 방식이란 구매에 관한 업무를 한곳에 모아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중앙 구매라고도 합니다.
분산 구매 방식이란 구매에 관한 업무를 사무소나 공장 등으로 분산해서 실행하는 구매 방식으로 로컬 구매라고 합니다.
구매처로 본 구매방식에는 독점 발주, 분산 발주 및 중간방식이 있습니다.
분산 발주란 같은 물품을 2개 이상의 기업에 발주하는 방식으로 사고 또는 재해에 의한 납기 지연 등의 리스크를 줄여 줄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처끼리 경쟁하게 하여 품질 향상과 납기 엄수를 유도할 수 있으며, 거래처가 가격의 주도권을 쥘 수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구입처 소재지를 기준으로 구매 방식을 분류하면, 국내 구매와 글로벌 소싱 및 그 중간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국내 구매란 원재료나 부품 등을 국내시장에서 최적의 퀄리티로 구입한느 활동을 말합니다. 글로벌 소싱이란 물품이나 서비스 따위를 세계 각지의 시장에서 최적의 퀄리티로 구매하는 활동을 말하며, 기업 활동의 글로벌화와 더불어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