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매

구매 방식

구매란?

구매의 목적

구매의 종류

 

구매의 종류

구매란? 구매의 목적 구매의 목적 구매란? 구매 관리 1. 구매란?  구매는 생산 활동이나 영업 활동에 필요한 설비, 원재료, 부품, 소모품 등을 구입하는 활동으로 제조업체가 생산에 필요한 설비�

cusport.tistory.com

1. 구매방식

  회사에서 본 구매 방식에는 집중 구매 방식, 분산 구매 방식, 중간 방식이 있습니다. 집중 구매 방식이란 구매에 관한 업무를 한곳에 모아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중앙 구매라고도 합니다. 분산 구매방식이란 구매에 관한 업무를 사무소나 공장 등으로 분산해서 실행하는 구매 방식으로, 로컬구매라고도 합니다.

 

2. 구매와 아웃소싱의 차이점

  기업 활동이 글로벌화하고 기업 간 경쟁이 격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제한된 경영 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 외부의 전문 업자에게 일정 업무를 위탁하는 경우가 더욱 늘고 있습니다. 이처럼 회사에서 실시하던 업무를 외부의 기업에 위탁하는 것을 아웃소싱이라 하는데요, 반면 구매는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는 것이며 발주하는 시점에서 조직이 원하는 사양을 모두 상대에게 전달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매에서는 상대의 프로세스를 컨트롤할 필요가 없는데 비해, 아웃소싱에서는 컨트롤할 필요가 있습니다. 

 

3. 구매 활동과 제조원가

  제조업에서는 원재료나 부품 등을 구입한 다음 기계 설비와 인력을 결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합니다. 제조업의 매출총액은 제조원가,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이익 등으로 구성되는데요, 이와같이 제조업이 어떤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소비하는 경제 가치를 제조원가라고 합니다.

   

   제조원가는 크게 직접비와 간접비로 나눌수있습니다. 제조원가중 직접비에는 어떤 물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원재료나 부품 등을 구입하는 직접재료비, 기계설비 등을 조작하는 작업자에 대한 급료등의 직접노무비, 생산에 사용되는 전기료나 가스비, 통신비 등 직접경비가 있습니다. 

 

   간접비에는 제품에 직접 구현되지 않는 간접재료비, 간접노무비, 간접경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조업의 제조원가에서 큰부분을 차지하는 재료비는 일반적으로 설계와 구매활동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되는데요, 구매활동은 원가절감활동의 주역으로서 기업의 이익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구매활동을 통해 회사의 제조원가흐름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더 나아가 그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해주는 영역이 구매이며, 구매는 회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끌어갈 수 있는 오늘날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구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의 종류  (0) 2020.06.18
구매의 목적  (0) 2020.06.17
구매 관리  (0) 2020.06.16